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HDMI vs DP 차이 DP가 더 좋다던데 사실일까 고성능 모니터에서 차이나는 이유 총정리

HDMI와 DP(DisplayPort), 뭐가 다를까 모니터 연결할 때 가장 많이 쓰는 케이블은  HDMI 와  DP(DisplayPort)  입니다. 이름만 다르고 거의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기능과 용도가 조금씩 다릅니다. ✅ HDMI란 TV, 콘솔(PS5, XBOX), 셋톱박스 등  가정용 영상 기기 중심 오디오와 영상 전송을  한 케이블로 통합 버전별로 성능 업그레이드 (2.1 → 4K 120Hz 지원) 💡 TV와 연결한다면 → HDMI가 더 적합 ✅ DP(DisplayPort)란 PC와 고성능 모니터를 위해 개발된 규격 고주사율(144Hz 이상), 고해상도에 강함 VRR (가변 주사율),  Daisy-chain (모니터 연결 확장) 같은 기능 탑재 💡 게임·작업용 모니터 → DP 선택이 정석 📊 성능 간단 비교 구분 HDMI 2.1 DP 1.4 DP 2.0 최대 해상도 10K 8K 16K 최대 주사율 4K 120Hz 4K 240Hz 4K 480Hz 특징 TV에 최적화 게임용 강세 초고성능 미래 규격 ➡  게이머라면 DP = 더 높은 주사율 확보 가능 ✅ 오디오 & 추가 기능 차이 기능 HDMI DP 오디오 전송 O O 모니터 직렬 연결 (Daisy Chain) X O FreeSync / G-Sync 안정성 보통 우수 ✅ 일반 사용자에게는 어떤 케이블? ✔ 사무용, 웹서핑 중심 → HDMI로 충분 ✔ 144Hz 이상 게이밍 모니터 → DP 추천 ✔ 4K 영상 시청 + TV 연결 → HDMI 강점 즉,  환경에 따라 최적 선택이 달라집니다. 🔎 자주 하는 질문 Q. 왜 같은 화면인데 DP가 더 선명하게 보인다고 하나요 A. 유사 조건에서 큰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고주사율 활성화 여부에 따라 체감 차이가 생깁니다. Q. 싸구려 케이블도 써도 돼요 A.  버전 지원 여부 가 가장 중요합니다. 예) 144Hz 쓰려면 DP 1.2 or HDMI 2.0 이상 필요 ✅...

[용량 확보 꿀팁] 윈도우 11 C 드라이브 용량 부족 해결, Windows.old 안전 삭제법

1.  Windows.old  폴더의 정체와 역할 Windows.old  란? Windows 10 11과 같은  대규모  OS  업그레이드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이전  OS  백업 폴더 입니다. 왜 용량이 큰가요? 이전 시스템 파일, 프로그램 데이터, 그리고 사용자의  이전 바탕화면/문서/다운로드 파일  등 모든 것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삭제해도 안전한가요? Windows 11을 계속 사용할 예정이고, 현재 pc에 이상이 없다면  삭제해도 안전합니다. (다만, 삭제 후에는 이전 OS로 되돌리기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탐색기에서  Windows.old  폴더를 '우클릭 > 삭제'하면 안 됩니다. 이 폴더는  Windows  시스템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 이 복잡하게 설정되어 있어 일반적인 삭제로는 일부만 지워지거나, 시스템 파일의 권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Windows에서 제공하는 '디스크 정리' 기능을 통해 삭제해야 시스템에 무리를 주지 않고 안전하게 제거됩니다. 2. 가장 안전한 용량 확보 3단계 (Windows.old 삭제 포함) Windows  파일 용량 확보의 핵심은  탐색기에서 직접 지우지 않고   Windows  자체의 '디스크 정리' 또는 '저장소 설정' 기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1단계:  Windows.old  폴더 및 임시 파일 삭제 Windows가 자동으로 생성한 대용량 파일을 가장 쉽게 정리하는 방법입니다. [설정]   →   [시스템]   →  [저장소]로 이동합니다. 하드 드라이브 정보  섹션에서 [임시 파일]을 클릭합니다. 목록에서 [이전  Windows  설치]를 반드시 체크하고, 다른 불필요한 임시 파일( Win...

1. [만성 염증 완벽 가이드] 염증의 실체부터 검사 방법, 그리고 염증 잡는 항염 생활 습관 5가지

  염증이란 무엇이며, 왜 만성 염증은 위험할까요? 1. 염증의 실체: 착한 불꽃이자 생체 방어 기제 염증(Inflammation)은 우리 몸에 감염, 외상, 화학물질 등의 유해한 자극 이 가해졌을 때, 이를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회복시키기 위해 우리 몸이 일으키는 필수적인 방어 반응 입니다. 일종의 '방어 시스템의 경보'이자, 침입자를 태워 없애는 '착한 불꽃'과 같습니다. 염증의 실체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생화학적 반응 입니다. 면역세포 동원: 백혈구(호중구, 대식세포 등)가 손상 부위로 이동합니다. 혈관 변화: 혈관이 확장되어 혈류량이 증가하고, 혈관 벽의 투과성이 높아져 면역 세포가 조직으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됩니다. 화학물질 분비: 통증과 부기를 유발하는 염증 매개 물질(사이토카인 등)이 분비됩니다. 2. 염증이 많아지면(만성 염증) 나빠지는 이유 염증은 원래 급성 으로 발생해 원인을 제거한 후 사라져야 합니다. 그러나 염증 원인(비만, 흡연,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등)이 장기간 해결되지 않고 몸속에 남으면, 이 '착한 불꽃'이 꺼지지 않고 '나쁜 불씨(만성 염증)'가 되어 신체 전반을 조금씩 손상시키기 시작합니다. 이를 만성 염증(Chronic Inflammation)이라고 합니다. 만성 염증이 위험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손상 부위 유발 또는 악화되는 주요 질환 혈관 동맥경화 , 고혈압 , 협심증 , 심근경색 , 뇌졸중 관절 류마티스 관절염 등 관절 질환 세포 및 DNA 각종 암 ( 염증이 정상 세포를 암세포로 변이 유도 ) 뇌 치매 , 우울증 등 정서 장애 대사 기능 제 2 형 당뇨병 , 비만 , 지방간 Sheets로 내보내기 만성 염증은 뚜렷한 증상이 없어 '침묵의 살인자...